불특정다수의 모든사람.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에 의해 접근이 가능한 공유된 상태, 개방되고 잘 알려진 것을 의미한다.
공공성이 확보되어어야 하는 모든 영역의 디자인.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제작, 설치, 운영하는 각종 공간 및 시설, 용품과 관련한 디자인. 공공장소의 여러 장비와 장치를 보다 합리적으로 꾸리는 일.
문명의 발달과 함께 도시화가 진행되고, 기능이 한층 세분화된 사회로 발전하면서 공공장소를 아름답고 쾌적하게 만들기 위한 공공디자인 개념이 생겨났다.
이에 2007년 경관법이 제정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경관형성 및 유도⋅관리를 위한 적용기준의 법적근거가 마련되었다.
이천시 또한 시민이 함께하는 행복도시를 만들고자
자연과 생태를 보존⋅관리하기 위한 도시경관의 통합적인 경관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시민이 함께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자연과 예술의 숨결이 빚어낸 ‘ECO ART CITY' 이천을 실현시키고자 한다.
미래상 | 도시이미지 | 형성전략 |
---|---|---|
Active city | 활기찬 축제도시를 만든다. |
|
매력적인 테마도시를 만든다. |
|
|
더불어 소통하는 문화도시를 만든다. |
|
|
Rich city | 심신이 즐거운 풍경도시를 만든다. |
|
살아있는 생태도시를 만든다. |
|
|
친환경적 녹색도시를 만든다. |
|
|
Top city | 친근한 예술도시를 만든다. |
|
상징적인 랜드마크도시를 만든다. |
|
|
생활속의 고품격 명품도시를 만든다. |
|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